2025년 최저임금, 월급으로 실제 수령액은 얼마일까?
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,86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전년도보다 인상된 수치로, 주 40시간 근무 기준 월급으로 환산하면 어떻게 될까요?
오늘은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월급 실수령액을 4대보험 공제 기준까지 포함하여 정리해드립니다.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, 주 5일 근무를 고려 중이신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.
1. 2025년 최저임금 기본 계산
- 2025년 최저시급: 9,860원
- 주 40시간 근무 시 주급: 9,860원 × 40시간 = 394,400원
- 주휴수당 포함 주급: 394,400원 + (9,860원 × 8시간) = 473,280원
- 월급 환산 (주 5일 기준): 473,280원 × 4.345주 ≒ 2,056,569원
2.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?
실제 월급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4대보험이 공제된 금액입니다.
2025년 예상 기준으로 공제액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항목 | 공제 비율 | 공제액 (예상) |
---|---|---|
국민연금 | 4.5% | 약 92,546원 |
건강보험 + 장기요양 | 3.545% | 약 72,955원 |
고용보험 | 0.9% | 약 18,509원 |
총 공제액 | 약 8.95% | 약 183,000원 |
📌 최저임금 실수령액 = 2,056,569원 – 183,000원 ≒ 1,873,500원
3.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이 포함될까?
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, 소정 근로일을 모두 출근하면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즉, 주 5일 4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발생 가능하니 꼭 챙겨보세요!
4. 실수령액을 더 늘릴 수 있는 방법은?
- 소득세 비과세 조건 활용: 연 5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(근로장려금 수급 가능)
- 근로장려금(EITC) 신청: 일정 소득 이하 가구에 환급 가능 (연 최대 330만 원)
- 4대보험 미가입 단기근무: 불안정하지만 실수령액은 높음 (단, 보험혜택 없음)
5. 마무리: ‘명목임금’보다 중요한 건 ‘실수령액’
2025년 최저임금이 올랐다고 해도, 실제 통장에 찍히는 돈은 각종 공제 후 실수령액입니다. 위 계산을 통해 자신의 실제 급여를 예측해보고, 재테크와 소비 계획을 세우는 기초로 삼아보세요.
슬기로운 돈벌이 연구소에서는 앞으로도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돈 이야기만 전해드릴게요. 👍